내 돈 240만 원을 내면 340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셈이라, 매년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어요.
올해 신청 예정이라면 지금부터 하나씩 꼼꼼하게 준비해 보세요.
신청 자격 요약 (모두 충족해야 함)
-
연령: 1985.1.1. ~ 2006.12.31. 출생자
→ 병역 이행자에 한해 최대 만 42세까지 가능 -
거주지: 2025년 7월 25일 기준, 주민등록상 경기도 거주자
-
근로 여부: 근로 중인 자 (정규직, 알바, 일용직, 자영업자 등 모두 가능)
-
소득 조건: 가구 중위소득 120% 이하
→ 2025년 7월 건강보험료 기준
신청 기간 및 방법
-
신청 기간: 2025년 8월 1일(금) 09:00 ~ 8월 18일(월) 18:00
-
신청 방법: 온라인 접수만 가능 (방문·우편 불가)
-
제출 기한: 마감일 18시 전까지 모든 서류 업로드 완료 필수
제외 대상자 (해당 시 신청 불가)
-
기초생활수급자, 법정차상위 대상자
-
희망저축계좌,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중복 자산형성사업 참여자
-
청년내일채움공제(22년 이전 가입자),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참여자
-
경기도 내 자산형성사업 참여 및 수혜 이력자 (병역 해지 제외 일부 가능)
-
공무원, 공공기관 임직원 (무기계약직 포함, 기간제 제외)
-
병역 의무 이행 중인 자
-
향락업소, 도박 등 제외 업종 종사자
제출 서류 목록
-
온라인 작성: 참여신청서, 자가진단서, 개인정보동의서
-
필수 첨부: 근로 확인서류, 건강보험 관련 3종(납부확인서, 자격확인서, 자격득실확인서)
-
주민등록등·초본, 가족관계증명서
-
해당자에 한함: 장애인증명서, 소상공인확인서, 신용회복 관련 서류 등
서류 발급일 기준: 2025년 7월 25일 이후분만 유효
저축 혜택 및 만기 수령액
선발 경쟁률 & 기준
-
2024년 경쟁률: 약 10:1
-
2025년 모집 인원: 3,000명
-
선발 기준:
-
소득 수준
-
근로기간
-
경기도 거주기간
-
가구 특성
-
정책 시급성 등
-
-
가산점 대상:
-
소상공인
-
사회적경제 조직
-
신용회복지원자
-
국가유공자 가구 등
-
꿀팁 요약
✔ 선착순 아님 → 천천히, 꼼꼼하게 준비
✔ 가입 후 소득 증가해도 OK, 단 근로는 유지
✔ 중복 참여 제한 많으니 기존 자산형성사업 참여 이력 반드시 체크
✔ 가구원 서명 누락 주의 – 개인정보 동의서 가구원도 반드시 서명
📞 문의 전화: 1877-3757 (모집 콜센터)
마무리
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, 월 10만 원 저축으로 580만 원을 만드는 합리적인 자산 형성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!
2025년에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므로, 자격 조건을 사전에 꼼꼼히 확인한 뒤 서류 발급부터 차근차근 준비하시길 추천드립니다.